사자성어, 고사성어 모음


조회수 TOP : 가가호호 , 만시지탄 , 유유자적 , 언감생심 , 경애화락 , 정본청원 , 유일무이 , 전인미답 , 교각살우 , 십일지국

최근조회 : 원입골수 , 전정만리 , 망루탄주 , 평기허심 , 자린고비 , 돈수재배 , 축실도모 , 단순호치 , 백팔번뇌 , 천지현황 우주홍황

올해의 사자성어 : 견리망의 (2024년) , 과이불개 (2023년) , 묘서동처 (2022년) , 아시타비 (2021년) , 공명지조 (2020년) , 마고소양 (2019년) , 파사현정 (2018년) , 군주민수 (2017년) , 혼용무도 (2016년) , 정본청원 (2015년) , 지록위마 (2014년) , 도행역시 (2013년) , 거세개탁 (2012년) , 엄이도종 (2011년) , 장두노미 (2010년) , 방기곡경 (2009년) , 호질기의 (2008년) , 자기기인 (2007년) , 밀운불우 (2006년) , 상화하택 (2005년) , 당동벌이 (2004년) , 우왕좌왕 (2003년) , 이합집산 (2002년) , 오리무중 (2001년)


吐哺握髮 주공(周公)이 자기를 찾는 이가 있으면 밥을 먹다가도 먹던 것을 뱉고, 머리를 감다가고 머리를 거머쥐고 영접(迎接)하였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말. 이는 위정자(爲政者)가 정무(政務)에 힘쓰는 것, 또는 훌륭한 인재를 잃지 않으려고 애쓰는 것을 비유함
토포악발

토할 토

먹일 포

쥘 악

터럭 발


부용치훼 不容置喙 상대방의 간섭을 용납하지 않겠다는 의미다.
아대가자 我待賈者 나를 알아주는 사람을 기다린다. 과거의 응답 없는 세상과 오늘... [더보기]
사근교원 舍近交遠 가까운 것을 버리고 먼 곳과 사귄다는 뜻으로, 가까운 친척은 버... [더보기]
우로기유 雨露旣濡 봄이 되어 비와 이슬이 내린다는 뜻이다.
어주구리 魚走九里 물고기가 구리를 달렸다는 말이다. 이는 말도 안되는 일이 벌어 ... [더보기]
옥불탁불성기 玉不琢不成器 옥도 다듬지 않으면 쓸 만한 물건이 되지 못한다. 아무리 소질이... [더보기]
수상개화 樹上開花 나무 위에 꽃을 피운다는 뜻으로, 본래 꽃을 피울 수 없는 나무... [더보기]
황구소아 黃口小兒 부리가 노란 새 새끼라는 뜻으로, 어린아이를 이르는 말이다.
향인설화 向人說話 남을 마주 대하여 보며 이야기함.
여불비례 餘不備禮 나머지는 예를 갖추지 못한다는 뜻으로, 편지 끝에 쓰는 말이다.... [더보기]
처음 이전 1 2 3 4 5 6 7 8 9 10




Copyright(c) 2024 All right reserved. kimduckhoo@ao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