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자성어, 고사성어 모음


조회수 TOP : 가가호호 , 만시지탄 , 유유자적 , 언감생심 , 경애화락 , 정본청원 , 유일무이 , 전인미답 , 교각살우 , 십일지국

최근조회 : 반생반사 , 삼생기연 , 기소불욕 물시어인 , 이대도강 , 인중기기 , 연유삼기 내획일치 , 중석몰족 , 학무지경 , 독양불생 , 동호지필

올해의 사자성어 : 견리망의 (2024년) , 과이불개 (2023년) , 묘서동처 (2022년) , 아시타비 (2021년) , 공명지조 (2020년) , 마고소양 (2019년) , 파사현정 (2018년) , 군주민수 (2017년) , 혼용무도 (2016년) , 정본청원 (2015년) , 지록위마 (2014년) , 도행역시 (2013년) , 거세개탁 (2012년) , 엄이도종 (2011년) , 장두노미 (2010년) , 방기곡경 (2009년) , 호질기의 (2008년) , 자기기인 (2007년) , 밀운불우 (2006년) , 상화하택 (2005년) , 당동벌이 (2004년) , 우왕좌왕 (2003년) , 이합집산 (2002년) , 오리무중 (2001년)


爪芒思擢心蛆罔覺 손톱 밑에 가시든 줄은 알아도 염통 밑에 쉬를 스는 줄은 모른다. 즉, 눈앞에 보이는 작은 일에는 영리한 듯하나 당장 나타나 보이지 않는 큰일이나 큰 손해는 깨닫지 못함을 이르는 뜻이다.
조망사탁심저망각

손톱 조

까끄라기 망

생각 사

뽑을 탁

마음 심

구더기 저

없을 망

깨달을 각


고식지계 姑息之計 당장의 편한 것만을 택하는 꾀나 방법. 일시적인 미봉책, 임시방... [더보기]
고성낙일 孤城落日 멀리 외따로 떨어져 있는 성에 해마저 서산에 기울어 가는 쓸쓸한... [더보기]
고산유수 高山流水 높은 산과 흐르는 물
고분지통 叩盆之痛 분을 두들긴 쓰라림이라 함이니 아내가 죽은 슬픔을 말함
고목생화 枯木生花 마른나무에 꽃이 핀다는 뜻
고목사회 枯木死灰 모양은 이운 나무처럼 조용하여 움직이지 않고 마음은 타고남은 재... [더보기]
고립무의 孤立無依 외롭고 의지할 데 없음
조령모개 朝令暮改 아침에 영을 내리고 저녁에 고친다는 말로, 일관성 없는 정책을 ... [더보기]
고려공사삼일 高麗公事三日 참을성이 부족하여 자주 변경함을 비꼬아 이르는 말. 시정의 방침... [더보기]
고량진미 膏粱珍味 기름지고, 살찐 고기와 맛있는 음식을 말함




Copyright(c) 2024 All right reserved. kimduckhoo@ao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