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자성어, 고사성어 모음


조회수 TOP : 가가호호 , 만시지탄 , 유유자적 , 언감생심 , 경애화락 , 정본청원 , 유일무이 , 전인미답 , 교각살우 , 십일지국

최근조회 : 감사지졸 , 자성제인 , 과욕불급 , 철천지한 , 제악막작 , 팔면부지 , 박후고명 , 존양성찰 , 욕속부달욕교반졸 , 신진대사

올해의 사자성어 : 견리망의 (2024년) , 과이불개 (2023년) , 묘서동처 (2022년) , 아시타비 (2021년) , 공명지조 (2020년) , 마고소양 (2019년) , 파사현정 (2018년) , 군주민수 (2017년) , 혼용무도 (2016년) , 정본청원 (2015년) , 지록위마 (2014년) , 도행역시 (2013년) , 거세개탁 (2012년) , 엄이도종 (2011년) , 장두노미 (2010년) , 방기곡경 (2009년) , 호질기의 (2008년) , 자기기인 (2007년) , 밀운불우 (2006년) , 상화하택 (2005년) , 당동벌이 (2004년) , 우왕좌왕 (2003년) , 이합집산 (2002년) , 오리무중 (2001년)


許由巢父 부귀영화를 마다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성천자라고 추앙받는 중국의 요임금이 허유에게 천하를 주겠다고 하자 허유는 더러운 말을 들었다고 하여 잉수이강 물에 귀를 씻었으며, 소부는 허유가 귀를 씻은 더러운 물을 소에게 먹일 수 없다고 하여 소를 끌고 돌아갔다는 데서 유래한다.
허유소부

허락할 허

말미암을 유

새집 소

아비 부


누진취영 陋塵吹影 먼지에 새기고 그림자를 입으로 분다는 뜻으로, 쓸데없는 헛된 노... [더보기]
불학즉고 不學則固 배우지 않으면 완고해진다는 말이다.
정와어해 井蛙語海 우물 안 개구리에게 바다에 대해 말하다.
마정방종 摩頂放踵 정수리부터 발꿈치까지 모두 닳는다는 뜻으로, 온몸을 바쳐서 남을... [더보기]
유학부지족 唯學不知足 오직 배움은 만족해서 그치지 않아야 한다는 뜻으로, 배움에는 만... [더보기]
대해일속 大海一粟 넓고 넓은 바다에 떨어뜨린 한 알의 좁쌀이란 뜻으로, 매우 작음... [더보기]
번운복우 翻雲覆雨 손바닥을 위로 향하면 구름이 일고, 아래로 향하면 비가 내린다는... [더보기]
축수자목불견태산 逐獸者目不見太山 짐승을 쫓는 사람의 눈에는 태산이 보이지 않는다는 뜻으로, 이욕... [더보기]
호사토비 狐死兎悲 여우가 죽으면 토끼가 슬퍼한다는 뜻으로, 동류의 불행을 슬퍼함.... [더보기]
화류동풍 花柳東風 꽃과 버들과 봄바람




Copyright(c) 2024 All right reserved. kimduckhoo@ao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