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자성어, 고사성어 모음


조회수 TOP : 가가호호 , 만시지탄 , 유유자적 , 언감생심 , 경애화락 , 정본청원 , 유일무이 , 전인미답 , 교각살우 , 십일지국

최근조회 : 단성무이 , 오곡 , 경즉인애지 , 안심인명 , 주야불식 , 조변석개 , 낙미지액 , 갈불음도천수 , 쌍두마차 , 전패위공

올해의 사자성어 : 견리망의 (2024년) , 과이불개 (2023년) , 묘서동처 (2022년) , 아시타비 (2021년) , 공명지조 (2020년) , 마고소양 (2019년) , 파사현정 (2018년) , 군주민수 (2017년) , 혼용무도 (2016년) , 정본청원 (2015년) , 지록위마 (2014년) , 도행역시 (2013년) , 거세개탁 (2012년) , 엄이도종 (2011년) , 장두노미 (2010년) , 방기곡경 (2009년) , 호질기의 (2008년) , 자기기인 (2007년) , 밀운불우 (2006년) , 상화하택 (2005년) , 당동벌이 (2004년) , 우왕좌왕 (2003년) , 이합집산 (2002년) , 오리무중 (2001년)


蜂蟻君臣 벌이나 개미에게도 군신의 구별은 뚜렷이 있다는 뜻으로, 상하 위계질서를 강조할때 하는 말이다.
봉의군신

벌 봉

개미 의

임금 군

신하 신


뇌려풍비 雷勵風飛 일을 해치움이 벼락같이 날쌔고 빠름을 의미하는 말이다. 
사별삼일 즉당괄목상대 士別三日 卽當刮目相對 선비라면 사흘만 떨어져 있다 만나도 눈을 비비고 상대해야 할 정... [더보기]
건상유족 褰裳濡足 바지를 걷고 발을 적신다는 뜻으로, 무엇인가를 얻기 위해 치러야... [더보기]
부귀다사 빈천과우 富貴多士 貧賤寡友 부귀할 때는 선비가 많고 빈천할 때는 친구가 적다.
북수실마 北叟失馬 북방에 사는 늙은이가 말을 잃었다.
거거거중지 행행행리각 去去去中知 行行行裏覺 가고 가고 가는 중에 알게 될것이고 행하고 행하고 또 행하다보면... [더보기]
수처위주 隨處爲主 언제 어디서나 주인정신을 가지고 모든 일에 임하라는 말이다.
유인유여 遊刃有餘 일처리가 매우 능수능란함을 비유한 말이다.
자리이타 自利利他 다른사람을 이롭게 하는것이 곧 자신을 이롭게 한다.
장락만년 長樂萬年 즐거움이 오래도록 끝이 없다.




Copyright(c) 2024 All right reserved. kimduckhoo@ao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