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자성어, 고사성어 모음


조회수 TOP : 가가호호 , 만시지탄 , 유유자적 , 언감생심 , 경애화락 , 정본청원 , 유일무이 , 전인미답 , 교각살우 , 십일지국

최근조회 : 낙백 , 성의정심 , 유비무환 , 무병신음 , 회백환조 , 산전수전 , 인지위덕 , 병불염사 , 가슬추연 , 자개자락

올해의 사자성어 : 견리망의 (2024년) , 과이불개 (2023년) , 묘서동처 (2022년) , 아시타비 (2021년) , 공명지조 (2020년) , 마고소양 (2019년) , 파사현정 (2018년) , 군주민수 (2017년) , 혼용무도 (2016년) , 정본청원 (2015년) , 지록위마 (2014년) , 도행역시 (2013년) , 거세개탁 (2012년) , 엄이도종 (2011년) , 장두노미 (2010년) , 방기곡경 (2009년) , 호질기의 (2008년) , 자기기인 (2007년) , 밀운불우 (2006년) , 상화하택 (2005년) , 당동벌이 (2004년) , 우왕좌왕 (2003년) , 이합집산 (2002년) , 오리무중 (2001년)


許由巢父 부귀영화를 마다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성천자라고 추앙받는 중국의 요임금이 허유에게 천하를 주겠다고 하자 허유는 더러운 말을 들었다고 하여 잉수이강 물에 귀를 씻었으며, 소부는 허유가 귀를 씻은 더러운 물을 소에게 먹일 수 없다고 하여 소를 끌고 돌아갔다는 데서 유래한다.
허유소부

허락할 허

말미암을 유

새집 소

아비 부


고량진미 膏粱珍味 기름지고, 살찐 고기와 맛있는 음식을 말함
고량자제 膏粱子弟 고량진미만 먹고 귀엽게 자라나서 고생을 모르는 부귀한 집안의 젊... [더보기]
고두사죄 叩頭謝罪 머리를 조아리고 사죄함
고대광실 高臺廣室 높은 대에 있는 넓은 집
고금동서 古今東西 옛날. 지금, 동양과 서양을 견줄만한 사람이 없음
고근약식 孤根弱植 친척이나 가까운 후원자가 없음을 말함
고군분투 孤軍奮鬪 외로운 군력으로 대적과 싸우다 홀로 여럿을 싸운다는 말
고공지신 股肱之臣 팔다리와 같이 믿는 보필의 신하. 임금이 가장 믿고 중하게 여기... [더보기]
고고지성 呱呱之聲 아기가 세상에 나오면서 처음 하는 소리
계신공구 戒愼恐懼 경계하고 삼가며 두려워 함




Copyright(c) 2024 All right reserved. kimduckhoo@ao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