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자성어, 고사성어 모음


조회수 TOP : 가가호호 , 만시지탄 , 유유자적 , 언감생심 , 경애화락 , 정본청원 , 유일무이 , 전인미답 , 교각살우 , 십일지국

최근조회 : 천사만려 , 왕자불가간 내자유가추 , 견원지간 , 옥골선풍 , 무족지언비천리 , 가빈사현처국난사양상 , 만물정관개자득 , 각목위리 , 시종일관 , 과하탁교

올해의 사자성어 : 견리망의 (2024년) , 과이불개 (2023년) , 묘서동처 (2022년) , 아시타비 (2021년) , 공명지조 (2020년) , 마고소양 (2019년) , 파사현정 (2018년) , 군주민수 (2017년) , 혼용무도 (2016년) , 정본청원 (2015년) , 지록위마 (2014년) , 도행역시 (2013년) , 거세개탁 (2012년) , 엄이도종 (2011년) , 장두노미 (2010년) , 방기곡경 (2009년) , 호질기의 (2008년) , 자기기인 (2007년) , 밀운불우 (2006년) , 상화하택 (2005년) , 당동벌이 (2004년) , 우왕좌왕 (2003년) , 이합집산 (2002년) , 오리무중 (2001년)


膚爛之救吾先兒後 내 발등의 불을 꺼야 아들 발등의 불을 끈다. 제 발등 불 먼저 끄고 아비 발등 불 끈다. 사람은 다급한 일에 직면하면 자신의 일을 먼저 처리한다는 의미. 자식을 아무리 사랑해도 자기 자신 아끼는 것만은 못하다는 의미. 살갗이 문드러지는 구급은 내가 먼저요 아이는 나중이다.
부란지구오선아후

살갗 부

빛날 란

갈 지

구원할 구

나 오

먼저 선

아이 아

뒤 후


부지즉문 불능즉학 不知則問 不能則學 모르는 것은 알 때까지 묻고, 잘하지 못하는 것은 잘할 때까지 ... [더보기]
거언미래언미 去言美來言美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
욕취선여 欲取先予 얻고 싶다면 먼저 주어야 함을 말한다.
초목노생 草木怒生 봄이 되어 초목이 싱싱하게 싹틈을 이르는 말이다.
주언작청 야언서령 晝言雀聽 夜言鼠聆 낮 말은 새가 듣고 밤 말은 쥐가 듣는다. 아무리 비밀스럽게 한... [더보기]
불경일사 부장일지 不經一事 不長一智 한 가지 일을 경험하지 않으면 한 가지 지혜가 자라지 않는다.
가빈친노 불택녹이임 家貧親老 不擇祿而任 가난하고 늙은 부모가 계시면 하찮은 직업이라도 가져야 한다. 가... [더보기]
대성질호 大聲疾呼 큰 목소리로 꾸짖음.
세태염량 世態炎凉 권세가 있을 때에는 아첨하고, 권세가 떨어지면 푸대접한다는 의미... [더보기]
담언미중 談言微中 완곡하게 상대방의 급소를 찌르는 말이다.




Copyright(c) 2024 All right reserved. kimduckhoo@aol.com